본문 바로가기

생활코딩2

EP 03. 나에게 필요한 머신러닝 찾아내는 방법(with 생활코딩) 지난 10일간 생활코딩 머신러닝 야학 3기에 참여했다. 결론적으로 굉장히 유익한 강의였고 무료라는 점이 죄송할 정도로 높은 퀄리티의 강의와 자료를 제공했다. 엄청나게 어려운 개념, 복잡한 코딩 실습을 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한 건 아니다. 개념 입문 느낌의 강의였고, 머신러닝에 대한 마음가짐? 접근 루트?를 알려주는 길잡이 같은 강의였다. 머신러닝에 대해 갈무리하는 의미로도 굉장히 좋았지만 직장인으로서의 공부에도 새로운 관점을 갖게 해준 점, 머신러닝을 공부할 때 마주치는 어려운 수식에서 가져야할 태도 측면에서도 굉장히 좋았다(이 부분은 따로 써볼 예정이다.) 10일동안 "머신러닝1", "텐서플로우" 강의를 들었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봤다. 딱 이 세 가지 그림만 기억하면 될 것 같다. 1. 기계학습의 세계.. 2021. 8. 1.
0. 데이터 베이스 이해하기 opentutorials.org/course/3162/19529 수업을 마치며 - 생활코딩 지식지도 관련된 지식의 지도입니다. 지도를 참고해서 스스로 학습 경로를 탐험해보세요. opentutorials.org 생활코딩의 데이터베이스 강의를 듣고 정리했습니다 1. 데이터 베이스의 본질 : 파일은 데이터를 보관하고 기록할 수 있는 혁명적인 방법이지만 데이터양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좀더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해졌다. 더 쉽게 데이터에 접근하고, 가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즉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구조적으로 파일의 정보를 저장해 데이터 가공을 쉽게 만들기 위해 개발됨 2. 데이터 베이스의 기능 Create - 생성 Read - 읽기 Update - 수정 Delete - 삭제 이.. 2021.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