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17

시간기록(2.14~2.20) 1. 전체적으로 줄긴 했지만.. 절반의 성공.. 2. 계획 안세우면 끝도 없이 무너진다. 3. 공부 하는 것만큼 중요한 휴식 4. 의지를 가지고, 정신 차리고 하루를 살아야 함. 2021. 2. 21.
시간 기록(2.7~2.14) 1. 지난 주보다 30분 떨어졌다 2. 음악 어플이 3위로 올라왔다(인스타 지웠으니까^^) 3. 인스타 안보니까 유튜브 카톡을 더 본다 4. 일일계획이 있어야 한다 5. 오늘하자.. 2021. 2. 15.
시간 기록(2.1~2.7) 한 주간의 기록을 끝낸 결과를 요약하면 시간 기록은 효과적이다. 하루 일일 계획이 필요하다.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제가 필요하다. 이정도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 3일까지는 기록하는 것도 재밌고, 확실히 시간을 꼼꼼하게 기록하다보니 내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한 번은 더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는 것 같다. 아무 생각없이 유튜브를 키고, 가쉽거리를 찾아 보내기보다는 지금 뭘 해놔야 할 지 생각하게 되고, 그걸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을 고민하게 된 거 같다. 하지만, 구체적인 계획이 없으니 시간이 붕 뜰때 오롯이 시간을 견디며 보내야 한다는게 참 쉽지 않았다. 그래서 일일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하루가 끝나고 마냥 견디기만 하는 게 아닌 보상체계가 중요하다. 기계적으로 나에게 보상을 준다는 개념보다는.. 2021. 2. 7.
어쩌다 데이터 : 커리어 고민 ●https://dailyheumsi.tistory.com/168?category=864097 [취준생의 데이터 분야의 커리어 고민 1] 해온 것과 느낀 것들 [2020.02.25 수정] 올해 1월 30일에 쓰던 글이었는데, 대략 한 달이 지나기 전 시점인 지금에서야 퍼블리싱한다. 서두 부분이 한 달 전 내용이라, 지울까 하다가 그래도 나름 기록으로서 의미가 있는 dailyheumsi.tistory.com 이 글을 보고 나도 기록해야 할 거 같아 여러 가지 기록해보고자 한다. 먼저 같은 고민에 관한 내 입장을 정리해보면 왜 데이터 분야인가? 1. 전도유망한 장래 일단, 데이터 직군의 미래가 밝다고 생각한다. 데이터 키워드는 여전히 핫하고, 갈수록 핫해질 것이다. 정보화 시대의 인터넷과 같은 역할을 4차 .. 202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