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생각난 것들25 어쩌다 데이터4 : 당장 돈이 되는 데이터 분석 당장 돈이 되는, 당장 돈을 벌어올 수 있는 데이터 분석이 있을까? 마이데이터 사업, 데이터 바우쳐 사업처럼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로우 데이터를 판매해 수익을 내는 것 말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 컨설팅, 기획, 프로모션 등으로 직접적인 수익을 낼 수 있을까? 더 나아가 데이터 분석이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을까? 1. 분석가들아, 돈 벌어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발생하고 있는 악순환 먼저 짚어 보고자 한다. 작년까지 이 악순환의 출발은 데이터 비즈니스의 당장의 매출을 내라는 압박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했다. 저번에 2021.02.04 - [그냥 생각난 것들] - "Data-Driven-Decision" vs "Decision-Drives-Data"에서 한번 정리했듯이 데이터 인사이.. 2021. 3. 29. 어쩌다 데이터3 : 데이터 분석가 주니어의 현실 "어떤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은가?" 굉장히 취준생스러운 질문이지만 실무를 시작한지 얼마 안된 주니어에게도 굉장히 유효한 질문이다.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한 로드맵과 배울 수 있는 루트는 하루가 다르게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실력을 향상 시키는건 개인의 성실함, 능력에 맡겨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어떤 분석가로 성장하고 싶은지는 개인이 집중해서 생각해봐야 한다. 조금은 막연한 문제처럼 느껴지지만 정리해둘 필요가 있어 정리해본다. 메xx 전직 처럼 어떤 특성의 분석가로 바뀌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초보자로 200찍는 일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어떤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은지에 대한 대답은 꽤나 명쾌하다. 분석을 실행에 옮겨 문제를 해결하는 분석가 명쾌한 답과는 다르게 현재 실무에서 .. 2021. 3. 12. 어쩌다 데이터2 : 커리어 고민(기획이 재밌지만 코딩을 해야 한다) 1. 잘하는 것과 하면 좋은 것 내가 한 걸 정리했으니 내가 하고 싶은 것과 잘하는 것도 정리해 봐야겠다. 기획이 재밌지만, 지금은 코딩을 배우는 게 이득이다. 1) 기획 업무 어려서부터 재밌어라 했던 것들과 굵직하게 흥미를 갖고 꾸준히 해온 일을 보면 사람을 모아서 재밌는 프로젝트를 띄우고, 결과를 내는 일이었다. 방송 또한 케미가 맞을 것 같은 사람들을 모아서 내 기획을 만들어가는 재미가 쏠쏠했기 때문에 흠뻑 빠졌다. 방송의 꿈을 접고 보니 딱히 콘텐츠가 아니어도 사람들을 모아서 재밌는 일을 해내는 데에는 여러 방법이 있었고, 소소하게 재밌는 프로젝트를 띄워보고 있었다. 쓰다보니 좋아하기만 한거 같은데, 꽤나 성과가 잘 난 프로젝트들이 많았다. 여튼 사람 모으고, 새로운 업무를 만들어 내는 일은 재밌.. 2021. 2. 11. "Data-Driven-Decision" vs "Decision-Drives-Data" 칼럼이나 뉴스에 기업의 높으신 분들께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Data-Driven-Decision이라고들 외치시는 걸 꽤나 많이 봐왔다. 내가 1년 반 새 너무 쩌들어 버린건지 이제는 그런 기사를 보기만 해도 쓴웃음이 난다. 씁쓸하지만 어쩌면 짚고 넘어가야 할 이야기를 좀 써봐야 겠다. 원하는 걸 말해봐! 우선, 내 경험은 raw 데이터 자체의 한계와 다소 낮은 수준의 분석을 가정하고 있으니 감안해주길 바란다. 유통 데이터와 고객 데이터를 결합해 다양한 데이터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업무를 약 1년 6개월 동안 진행했다. 크고 작게 다양한 산업/제조사/브랜드를 다루었는데 보통 진행한 업무 현실은 다음과 같다. 한 고객사가 "우리 회사 PB상품 관련해서 발표좀 해줘요" 등의 아주 목적성이 명확한 미션을 던.. 2021. 2. 4.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