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종료)41 [SQL]데이터베이스와 DBMS, RDBMS 업무 중에도 꽤나 헷갈리는 개념들이라 짚고 넘어가야할 필요성을 느껴서 정리함 DBMS, RDBMS, 서버, 클라이언트 등의 개념부터 mysql, mariaDB, SAS, HIVE 등의 프로그램 이름까지 모호하게 알고 있던 개념들을 선을 그어 정리해보자. 1. DBMS와 RDBMS 위 그림을 보면 사용자가 각자의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DBMS에 접근해 원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작업을 진행한다. 즉, DMBS를 사용하는 것은 Client를 통해 server에 접속해 그 안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그 DBMS의 유형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NoSQL DBMS 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IMDBMS) 기둥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CDBMS) .. 2021. 5. 15. 시간관리(4.17~4.24) + 방법 수정 1. 어플 오류 때문에 주 평균 시간이 나오지 않음 2. 평균 5시간 정도 한 것 같음 3. 답보 상태 -> 방법의 변화 필요 4. 앱 타이머 + 하루 목표 설정 -> 강제성 및 자율적으로 조절 해보기 5. 목표 이룬 날 수로 측정 시간 to 에너지 project-notwork.tistory.com/37 시간기록(3.28~4.3) + 재점검 1. 꽤나 줄었다. 2. 3일 계획 - 피드백 - 3일 계획 - 피드백 3. 출퇴근 시간을 어떻게 보낼 수 있을지 고민 4. 반드시 줄인다. *유튜브 시간대 및 이용시간도 체크해보자 재점검 지금까지 시간을 줄이 project-notwork.tistory.com 시간의 개념에서 조금 다르게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시간을 물리적으로 기록하고, 객관적인 사실로 더하고 .. 2021. 4. 25. [SQL] SQLD 10일 독학 합격 후기 1. 시험 후기 불합격이라고 거의 확신한 시험이었는데 합격했다. 사실 SQLD 공부를 시작하기로 한 글에서 밝혔듯이 후기나 교재를 보고나서 시간과 지식이 그렇게까지 많이 필요한 시험이 아니라고 판단했고, 그에 맞게 적당히만 공부했다. 하지만 시험장에서 느낀 느낌은 "아 이렇게 공부하는게 아니었구나.." 풀면서도 이게 맞나 싶은 문제가 1/3을 넘겼고, 아예 커버하지 못한 문제들도 꽤나 나왔다. 그리고.. 주관식 유형이 있는시험인지 몰랐다. (시험지 받고 뒷 부분에 주관식이 있어서 아주 깜짝 놀랐다..) 당연히 주관식 대비를 안했으니 거의 1/3은 빈칸이었다. 더 이상 나아질 게 없다고 생각해 종료 30분 남겨놓고 먼저 제출하고 나왔다. 나오면서 이 시험은 망했구나 싶었다. 시험장 나오자마자 다음 시험 일.. 2021. 4. 18. 시간기록(4.11~4.16) 1. 기록상 평균 시간은 늘었지만, 1~3 사용량은 유지한 편 2. 이동시간 = 웹툰.. 3. 역시 책은 돈 주고 사야 읽는다 4. 개인 프로젝트는 진도가 안나갔다.. 5. 3일 계획 유의미한 것 같다. 플래너 다시 잘 쓰자 2021. 4. 18.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