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15

시간 기록(2.7~2.14) 1. 지난 주보다 30분 떨어졌다 2. 음악 어플이 3위로 올라왔다(인스타 지웠으니까^^) 3. 인스타 안보니까 유튜브 카톡을 더 본다 4. 일일계획이 있어야 한다 5. 오늘하자.. 2021. 2. 15.
시간 기록(2.1~2.7) 한 주간의 기록을 끝낸 결과를 요약하면 시간 기록은 효과적이다. 하루 일일 계획이 필요하다.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제가 필요하다. 이정도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 3일까지는 기록하는 것도 재밌고, 확실히 시간을 꼼꼼하게 기록하다보니 내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한 번은 더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는 것 같다. 아무 생각없이 유튜브를 키고, 가쉽거리를 찾아 보내기보다는 지금 뭘 해놔야 할 지 생각하게 되고, 그걸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을 고민하게 된 거 같다. 하지만, 구체적인 계획이 없으니 시간이 붕 뜰때 오롯이 시간을 견디며 보내야 한다는게 참 쉽지 않았다. 그래서 일일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하루가 끝나고 마냥 견디기만 하는 게 아닌 보상체계가 중요하다. 기계적으로 나에게 보상을 준다는 개념보다는.. 2021. 2. 7.
"Data-Driven-Decision" vs "Decision-Drives-Data" 칼럼이나 뉴스에 기업의 높으신 분들께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Data-Driven-Decision이라고들 외치시는 걸 꽤나 많이 봐왔다. 내가 1년 반 새 너무 쩌들어 버린건지 이제는 그런 기사를 보기만 해도 쓴웃음이 난다. 씁쓸하지만 어쩌면 짚고 넘어가야 할 이야기를 좀 써봐야 겠다. 원하는 걸 말해봐! 우선, 내 경험은 raw 데이터 자체의 한계와 다소 낮은 수준의 분석을 가정하고 있으니 감안해주길 바란다. 유통 데이터와 고객 데이터를 결합해 다양한 데이터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업무를 약 1년 6개월 동안 진행했다. 크고 작게 다양한 산업/제조사/브랜드를 다루었는데 보통 진행한 업무 현실은 다음과 같다. 한 고객사가 "우리 회사 PB상품 관련해서 발표좀 해줘요" 등의 아주 목적성이 명확한 미션을 던.. 2021. 2. 4.
시간 기록(2.1~2.7) : 중간점검 저번 글에서 해보기로 한 하루 기록 해보기의 중간점검 글이다. 윤영훈님도 기록해보면 내가 생각하는 하루와 실제가 다르다고 했는데, 정말 너무 달랐다. 기록은 간단하게 시작과 종료, 대분류, 중분류, 소요시간으로 나누어 기록했고, 기본적으로 멀티태스킹은 주 행동으로 기재했다. 예를 들어 이동하는 버스에서 책을 읽었어도, 이동으로 기재했다. 년 월 일 요일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대분류 중분류 소요 시간 2021 2 1 월 0:08 0:23 독서 이것이 코딩테스트 0:15 2021 2 1 월 0:23 7:50 잠 잠 7:27 2021 2 1 월 7:50 8:00 준비 출근 0:10 2021 2 1 월 8:00 8:05 일 일 0:05 2021 2 1 월 8:05 8:22 준비 샤워 0:17 1주일간 기록하기로.. 2021. 2. 4.